반응형
URL 인코딩에 대해 알아보겠음.
한번씩은 인터넷 서핑하면서 주소창을 볼것이다.(아닌가?)
URL에는 US-ASCII의 문자들 중 출력이 가능한 문자들만 포함된다.
바로 URL 인코딩이 URL에 포함되는데 ASCII 코드로 표현이 불가능한 문자들이
안전하게 웹서버에 전달이 되도록 웹 브라우저에서 인코딩하는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URL에는 US-ASCII 즉, 영문만이 포함가능 하고
한국어를 포함한 다른 외국어들, ASCII에 정의되지 않은
특수문자들과 공백(Space), %, ?, #, <, > 등은 URL에 포함될 수 없다.
그러므로 URL 인코딩을 해주어야 한다.
그럼 URL 인코딩은 어떤식으로 이루어질까.
위에서 언급한 케이스들을 %와 원래 문자열의 16진수값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아래에 URL 메타문자에 대한 내용도 첨부하였음.
반응형
'IT 그리고 정보보안 > Knowledge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e64 Encoding (0) | 2021.04.16 |
---|---|
HTML Encoding (0) | 2021.04.16 |
ASCII Encoding (0) | 2021.04.15 |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0) | 2021.04.15 |
웹(www) 기본 개념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