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에서는 인덴테이션을 잘 안해주면 오류가 난다.-_-;
나같은 경우는 원래 c언어 등 여타 언어들을 코딩할 때 버릇이 별로 안좋았다.
들여쓰기를 잘 안해서 가독성이 매우 떨어졌었음.
파이썬에서는 이런 내 좋지 못한 버릇을 용납하질 않는다.
반드시 해야하는 규칙들이 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것들이다.
다른 언어에서는 굳이 지켜주지 않아도 되지만, 파이썬에선 지켜줘야 한다.
대신에 코드 블록들을 괄호로 묶는 귀찮은 과정이 사라진다.
1. 가장 큰 범위(가장 바깥)의 코드 블록은 무조건 들여쓰기를 하면 안된다.
2. 제어문들의 수행문들은 같은 열에 위치해야 한다.
3. Tab(탭)과 space(공백)을 함께 쓰지 않는다.
편집기 마다 탭과 공백을 구분짓는 칸 수가 다를 수 있다.
탭은 일반적으로 8칸인데, 8칸으로 인지 못하는 에디터에서는 오류가 날 가능성이 있다.
4. 들여쓰기는 몇번을 하던 같은 자리에 있어야 할 구문들이 같은 자리에만 있으면 된다.
반응형
'IT 그리고 정보보안 > Knowledge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 활용 (0) | 2021.04.13 |
---|---|
파이썬 함수와 제어문 (0) | 2021.04.13 |
파이썬 객체 주소 식별과 레퍼런스 카운트 (0) | 2021.04.13 |
파이썬 자료형 (0) | 2021.04.13 |
파이썬 설치 및 기본 사용법 (0) | 202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