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영체제란?
딱딱한 사전적 의미는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좀 더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하고 시스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집합체" 라고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하기 귀찮은 것들, 일일이 신경써주기 힘든 부분들을 알아서 관리해주고 컴퓨터를 사용할 때 필요한 구성들을 좀더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 것. 꼭 필요하다..
2. 운영체제의 구조
운영체제는 하드디스크 위에 설치되고.. 설치된 운영체제 위에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할 수 있게끔
구성 되어있다.
3. 운영체제의 기능
운영체제 기능은 뭐.. 상당히 많다.
메모리 공유 관리, 입출력 장치 관리, 파일 접근 권한 관리, 네트워크 접근 관리, 시스템 자원 관리, 에러 검출과 조치, 프로세스 관리 등..
이런 많은 기능들을 크게 2가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보면 "제어와 처리" 나눌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 감시, 프로그램 동작 제어, 하드웨어 구동 등의 역할로 직접 자원을 관리한다. 예시로 감시, 데이터 관리, 작업 관리, 통신제어 프로그램 등이 있다.
처리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의 통제하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등을 처리하는 것이다. 예시로 언어 번역 프로그램, 서비스 프로그램, 사용자 프로그램 등이 있다.
4. 운영체제의 목적
처리능력 향상, 응답시간 단축, 사용 가능성의 향상, 신뢰도 향상.. 굳이 설명이 필요없을?것 같은데.
5.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
이 부분은 적을까 말까 고민하다가.. 알아둬서 나쁠건 없으니.
최초의 처리 시스템은 "일괄 처리 시스템" 이다. 여러 작업을 하나로 묶어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당연히 느려 터졌겠지. 그래서 나온게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이다. 멀티 프로그래밍이라고도 불린다.
다중 프로그래밍은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CPU에서 연산을 하고 입출력장치로 보내주게 된다. 근데 CPU는 엄청 빠른데 비해서
입출력 장치는 느려도 너무 느리다. 그건 뭐 지금도 마찬가지.. 그래서 CPU가 연산하고 입출력 장치로 보내고 난 후
그 남은 시간동안 CPU는 작업을 안하고 놀고있다. 이 시간이 아까우니 그 시간에 또 다른 프로세스를 처리하자. 는게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이다.
위 두가지가 일괄 처리이고 "실시간 처리"와 "시분할 처리" 시스템있다.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일정 시간동안 프로세스를 실행하고난 후 다음 프로세스에 대한 대기와 실행을 제어하는 것.
시분할 처리 시스템은 시간 단위로 쪼개어 여러 사용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그 후에 나온게 "분산 처리 시스템" 이다.
분산된 여러 대의 컴퓨터에 작업을 분담시켜 통신망을 통하여 작업을 처리하는 것인데, 이론상으론 빠르다.
하지만 모든 컴퓨터가 동일한 SPEC에 동일한 처리 방식으로 처리할리가 만무하다. 이 부분에서 속도차이가 난다.
이게 문제라서 나온게 "다중 처리 시스템"이다. 여러개의 작업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동시에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
'IT 그리고 정보보안 > Knowledge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0) | 2021.04.17 |
---|---|
교착상태 (Deadlock) (0) | 2021.04.17 |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0) | 2021.04.17 |
화면 모드와 비디오 메모리 (0) | 2021.04.17 |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과 페이징(Paging) (0) |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