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9

Windows 환경에서 django 설치

1. 파이썬 설치 파이썬부터 설치해야겠지요. 그리고 환경변수로 등록해주어야 한다. 환경변수 등록안하면 골이 아프다. 시스템 속성에 들어가서 path 변수에 ;C:\python27;C:\Python27\scripts 이렇게 등록하면 된다. (스크립트 폴더도 같이 등록한다.) 2. django 최신버전 다운로드 https://www.djangoproject.com/ 위 링크를 따라 들어가서 다운로드를 받는다. 편의상 다운로드 받은 파일들을 c:\django 같은 이름의 경로에 둔다. 문제는 이렇게 해서 >>python setup.py install 명령을 때려 넣으면 설치가 안된다.. setuptools 라는 모듈이 없어서 설치가 안된다. 그럼 setuptools를 받아주어야 한다. 이게 또 골때리는게 받으..

gdb-peda 설치

gdb peda라고 아주 유용한 파이썬 플러그인이 있다. 최신 gdb들이 3버전 대로 만들어서 peda를 설치하는데 상당히 곤욕을 치뤘다. peda는 2버전대로 만들었다. 먼저 peda 소스코드를 받는다. $ git clone https://github.com/longld/peda.git ~/peda 소스코드를 받고 나서 $echo "source ~/peda/peda.py" >> ~/.gdbinit 을 입력한다. gdb설정파일에 peda 경로를 설정해주는 것 같다. 그다음 2.7버전으로 gdb를 컴파일 하기 위해 python2.7-dev를 받는다. $apt-get install python2.7-dev 그리고 term cap library found error를 방지하기 위해 (뭔 에런진 모르겠다.) $..

우분투 CLI 부팅 시키기

우분투를 major OS로 사용할 것이 아니고 그냥 리눅스 환경에서 무언가 작업을 해야 된다거나 서버용으로 사용한다면 굳이 디폴트로 설정된 GUI 환경으로 부팅하여 많은 메모리를 잡아먹을 필요가 없다. 그래서 CUI 환경으로 부팅을 하면 되는데, 설정을 해줘야 하는 부분이 있다. 일단 Ubuntu 14.10 32비트 환경의 설정 방법이다. (버전마다 하는 방법이 다르더라. 꽤나 찾아다녔다.) 일단 /etc/default/grub 파일을 vi로 연다. (sudo 명령으로 root 권한인 채로 열어주어야 한다. 그래야 수정이된다.) 그림에서 처럼 최초에 설정파일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빨간 네모친 부분의 값들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GRUB_CMDLINE_LINUX_DEFAULT = "quiet" 로 되어..

리얼모드 메모리 주소 표기

일반적으로 0x07C00 번지라고 하면 0x07C0:0000, 0x0000:07C0. 0x0700:0C00 등 다양한 주소로 표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0x07C0 은 물리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고, 0x07C0:0000 은 논리 주소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16비트 메모리 관리 기법에서 세그먼트 레지스터의 값에 16을 곱하고 거기에 옵셋을 더하면 물리주소에 맵핑이 된다고 된다. 쉽게 말해 콜론을 기준으로 왼쪽이 offset 이고, 오른쪽이 세그먼트 레지스터 값인데, 이걸 물리주소에 맵핑하려면 레지스터 값 x 16 즉, 0x1000 이면 0x10000 이 되는 것이고, 거기에다가 offset값을 더하면 된다. 요지는 저 콜론이 있으면 논리주소라는 것

QEMU 배치(.bat) 파일 설정

qemu는 오픈 소스 프로세서 에뮬레이터로 여러가지 프로세서를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한 프로그램이다. x86, x86_64, ARM, SPARC, PowerPC 등 다양한 프로세서를 지원하고 멀티코어 에뮬레이션을 지원한다. 32/64비트 모두 지원한다. 이놈을 쓸 때 설정해줘야 되는게 있다. 실행할 때마다 옵션을 입력하는게 매우 불편하고 귀찮기 때문에 배치 파일을 만들어 자동화 시켜주면 편하다. 일단 QEMU 설치 디렉토리로 간다. qemu-x86_64.bat 라는 파일이 있는데, 이게 에뮬레이터를 실행하는 배치파일이다. 메모리 크기, 하드디스크 이미지,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 사운드 및 기타 옵션들이 들어있다. 이 파일을 에디터로 열어서 수정해주어야 한다. 위에 네모친 부분을 추가해주면 된다. -L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