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b 2

FAT (File Allocation Table) 32

FAT16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제 마지막으로 FAT32 파일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고 NTFS로 넘어가야겠다. (exFAT도 있지만.. 이건 추후에 다룰게요.) FAT32은 FAT12, FAT16 과 구조가 좀 다르다. (뭐 사실 달라봐야 거기서 거기이긴 함;;) FAT32 내용을 작성하면서 FAT16과 동일한 부분은 간단하게 언급하고.. 그 외 부분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겠습니당~ 아 그리고 FAT16 구조분석 포스팅 2개를 다 보고 왔다는 가정하에 작성할 것이니 안보셨음 보고 오셈 먼저 전체적인 구조를 그림으로 살펴보자. 1. FAT32 전체 구조 FAT16과 비교하면, 비슷한 듯 다른 구조를 지니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예약된 영역인데, 기존에 CPU Jump ~ Signature..

VBR (Volume Boot Record)

VBR(Volume Boot Record), BR (Boot Record) 다양한 이름으로 쓰이는 VB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VBR, BR, 파티션 부트 레코드, 부트 섹터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들 중, Boot Sector(부트 섹터)는 구별을 좀 해야한다. 볼륨의 가장 첫번째 1개의 섹터는 반드시 부트 섹터가 오게 되어 있는데, VBR의 크기가 1섹터이면 부트섹터=VBR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VBR의 크기가 1섹터보다 큰 경우, 부트섹터는 VBR에 종속된다고 보아야 한다. 1섹터는 부트 섹터이고, 그 뒷부분은 VBR 이지만 부트섹터는 아니니깐, 결론은 (부트섹터 ⊂ VBR) MBR 영역의 부트코드에서.. 마지막 루틴이 "부팅 가능한 파티션의 첫번째 섹터를 메모리 0x0000:7C00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