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etd 2

xinetd 데몬

기본 개념 같은건 다 안다고 가정하고 하는 방법만 설명하도록 하겠음. 차례대로 한번 살펴봅시다. 1. 서비스 등록할 프로그램 작성 아래와 같이 간단한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라. 그냥 컴파일 하고, 여기서 프로그램의 절대 경로를 pwd 명령으로 알아두면 좋다. 2. Xinetd 설치 여부 확인 및 설치 /etc/init.d 디렉토리에 가서 xinetd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설치해야 한다. apt-get install xinetd로 설치하면 됩니당. 3. 서비스 등록 설치가 다되었으면 /etc/xinetd.d 디렉토리에 가서 서비스 등록할 이름으로 파일을 하나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 cat > 하던지.. vi 쓰던지..) service [서비스 이름] { disable = no fla..

리눅스 서버 구동 과정

. 데몬이란? 일종의 윈도우에서 '서비스' 이라고 보면 된다. 커널 상에서 항상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요청할 때만 동작하는 프로세스라고 보면 된다. 원할하게 리눅스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몬을 적절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inetd를 관리하는 파일은 inetd.conp 이다. #ps acx 를 통해 실행중인 데몬을 확인할 수 있다. 2. 슈퍼데몬이란? - 앞서 도입한 데몬을 관리하는 대장(?)격으로 보면 된다. 슈퍼데몬을 xinetd 데몬이라고 칭한다. 기존에는 inetd 데몬을 슈퍼데몬으로 사용하였는데, 리소스 관리가 비효율적이고 보안 기능이 없어서 xinetd가 나왔다. xinetd는 TCP Wrapper라는 필터링 기능도 갖고 있다. xinetd를 관리하는 파일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