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css 박스 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박스 모델이란게 도대체 무엇일까???
HTML의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박스 형태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배경색을 바꾸니 박스형태로 설정이 된거.. 봤죠?
이런식으로..
CSS는 이 박스에 대한 이해만 잘해도 반이상 먹고 가는거라고 한다.
위 예제는 아무 설정도 하지 않은 박스다.
CSS에서는 이 박스단위로 여러가지 스타일 지정을 한다. 그래서 중요하지.
사진을 담는 액자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 액자는 크기가 조정도 되고 위치를 옮길 수 도 있다. 테두리를 칠 수도 있고
액자 안에 넣는 그림, 문자 등은 사용자 임의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w3schools에서 따온 그림을 함 보자.
딱보면 뭔지 느낌이 오지 않는가.
Margin : 경계선 밖의 여백이다.
Border : 뜻 그대로 경계선. 테두리
Padding : 내용과 경계 사이의 여백이다.
Content : 내용물임.
이녀석들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CSS 박스 모델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이 가능한 것이다.
예제 소스를 한번 보겠음.
앞서 설명했던 속성들이 <style> 테그 속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width는 폭, height는 높이이다. 가로 세로 길이를 나타냄.
코드를 실행시킨 html 화면을 보면 좀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margin, width, height 값을 보며 어떤식으로 박스 모델이 적용 되는지 알 수 있음.
참고로 margin은 가로세로 한번에 여백을 만들어 준다.
'IT 그리고 정보보안 > Knowledge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uby on Rails (루비 온 레일즈) 간단정리 (0) | 2021.04.15 |
---|---|
CSS Selector (0) | 2021.04.15 |
CSS (Cascading Style Sheet) 개념 (0) | 2021.04.15 |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개념 (0) | 2021.04.15 |
PIE (Position Independant Executable)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