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9

교착상태 (Deadlock)

교착상태, 데드락에 대해 알아봅시다. 운영체제 공부했으면 꼭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용어지. 둘 이상의 작업이 서로를 기다리다가 결국 둘다 ㅄ이 되는 상태. 한놈은 다른놈 작업이 끝나길 기다리고, 한놈은 다른놈이 작업을 시작하길 기다리는..뭐 그런 상태 교착상태가 일어나는 데에 조건이 있고, 또 그것을 관리하는 방법들이 몇가지 존재한다. 각각 4가지 씩 있으니.. 함 알아보자. * 교착상태의 조건 1. 상호배제 (Mutual Exclusion) : 흔히 말하는 뮤텍스이다. 쉽게말해 "내가 자원쓸 때 너넨 쓰지마" 2. 점유와 대기 (Hold & wait) : 지가 자원을 점유하면서 다른 자원이 할당되길 기다리는 것 3. 비선점 (No preemption) : 할당된 자원이 있을땐 절대 뺏을 수 없다. 4..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개요

. 운영체제란? 딱딱한 사전적 의미는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좀 더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하고 시스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집합체" 라고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하기 귀찮은 것들, 일일이 신경써주기 힘든 부분들을 알아서 관리해주고 컴퓨터를 사용할 때 필요한 구성들을 좀더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 것. 꼭 필요하다.. 2. 운영체제의 구조 운영체제는 하드디스크 위에 설치되고.. 설치된 운영체제 위에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할 수 있게끔 구성 되어있다. 3. 운영체제의 기능 운영체제 기능은 뭐.. 상당히 많다. 메모리 공유 관리, 입출력 장치 관리, 파일 접근 권한 관리, 네트워크 접근 관리, 시스템 자원 관리, 에..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플로피 디스크는 자기 원반(Magnetic Disk)로 이루어진 저장 매체 이다. 이거는 이제는 볼 수가 없다. 왜? 안나온다. 아마 90년생 이후? 로는 본적이 거의 없지 싶다. 있어도 기억 못하는. 생긴건 이런 식으로 생겼다. 다양한 종류의 플로피 디스크가 있지만 최종적으로 썼던건 3.5인치 플로피 디스크이다. 흔히 디스켓이라고 불렀다. 우리 어릴 때는. 지금은 없으니 뭐.. 플로피 디스크는 섹터, 트랙, 헤드로 구성된다. (헤드를 그림으로 넣고 싶었는데 그리기가 너무 모호해서 말로만 설명하겠다.) 헤드 디스크의 표면이다. 그림에선 표현하지 못했는데, 저 그림이 위에서 플로피 디스크를 내려다 본 것이라고 하면 헤드는 옆에서 봤을 때 알 수 있는것. 즉 옆에서 보면 ㅡ 이렇게 그냥 얇은 필름 같이 되어..

화면 모드와 비디오 메모리

부트로더를 제작하다가 부팅시 나오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는 걸 알았다. 이 때 화면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비디오 메모리라는 영역에 접근하여 화면 제어를 한다. 먼저 이 비디오 메모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스템의 하위 메모리 맵을 볼 필요가 있다. 내가 OS 제작을 하면서 사용할 부분은 텍스트 모드 비디오 메모리(당연히 컬러) 이다. 위 그림을 보면 컬러 텍스트 모드는 0xB800 에서 0xFFFF 크기 만큼의 영역을 사용한다. 화면 크기는 80*25 문자 (가로*세로) 근데 하나의 문자는 문자값과 속성값 각각 1바이트 씩 이기 때문에 실제 비디오 메모리의 크기는 80*25*2 = 4000 바이트이다. 문자값 1바이트는 뭐 당연히 문자를 나타내는 것이고 속성값 1바이트(8비트)는 상위 4비트는 전경..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과 페이징(Paging)

가상메모리를 관리하는 기법인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과 페이징(Paging)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가상메모리는 메모리에 로드된 즉,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가상의 공간을 참조하여 마치 커다란 물리메모리를 갖고 있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해 실제 메모리 주소가 아닌 가상의 메모리 주소를 주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내가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용량이 5GB인데, 메모리(RAM)는 4GB이다.. 그럼 어떻게 실행하지? 4GB에 10GB를 올리는 것도 문제인데, 억지로 올린다고 쳐도..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는 다른 작업은 아무것도 못하게 되지 않는가. 이런 경우 사용되는 기술이 바로 가상메모리다. 가상메모리는 각 프로세스 당 메인메모리와 동일한 크기로 하..

반응형